분류 전체보기 244

[GCP] Bigquery DB Tool접속을 위한 SA Key 설정 방안

WebConsole에서 사용하는 Bigquery Studio가 아닌 toad, HeidiSQL, DBeaver등 DB TOOL로 접속이 필요할 경우가 있습니다. 이중 2024년 DBeaver은 Bigquery를 지원하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SA키를 발급받아, DBeaver에서 Bigquery를 접속하는 방안에 대해 기술합니다. 서비스 계정 생성Console > IAM & Admin > Service Accounts“CREATE SERVICE ACCOUNT” 선택 SA키를 생성합니다.적절한 account name과 description을 설정합니다.Role은 환경에 맞도록 설정합니다.본 테스트 문서에서는 연결 테스트 이므로 BigQuery Admin으로 설정하였습니다.사용자에게 SA 계정에 대한 액세스가..

Cloud/GCP 2024.12.09

GCP에서 SSH 포트 변경시 다양한 방안

목적 : SSH(Secure Shell)는 원격 호스트에 접속하기 위해 사용되는 보안 프로토콜입니다.기본으로 22 Port를 사용하며, 이미 알려진 well-known port 이므로, 무작위 대입 공격을 방지 하는 방법 중 하나로 포트를 변경해서 사용합니다. 본 문서에서는 기운영 중인 OS의 config파일을 변경하여 적용하는 방법과 GCP의 템플릿, 메타데이터를 사용하여 프로젝트 전체에 적용하는 방법을 기술합니다. 유의사항 : 이번 문서에서 GCP 메타데이터, 시작 스크립트를 통한 SSH Port를 변경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있습니다.기본적인 이해를 위해 확인하되, Docs를 참고하여 고객사 상황에 맞게 적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SSH 접속포트가 변경 되었으므로,  변경한 포트에 대한 방화벽 규칙..

Cloud/GCP 2024.12.05

[OS] scp를 사용하여 서버간 파일 전송

scp를 사용하여 OS간 파일 복사와 로컬PC로 업로드, 다운로드 방안에 대해 기술합니다. SCP란? : Secure Copy Protocol로 ssh를 사용하여 서버 (unix, linux)간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복사하는 유틸리티입니다. 사전에 ssh key등록이 필요합니다. Bastion VM에 모두 다 등록이 되어 있다고 가정합니다.그리고 GCP WebConsole내에서 다운로드를 받는 것으로 하겠습니다.아래의 조건으로만 사용이 가능합니다.Bastion접속 → SSH 접속권한이 있는 bastion 계정으로 변경 → scp사용 bastion접속 bastion ID로 변경 sudo su - bastion가져오고자 하는 원격지 서버의 파일을 아래 명령어를 응용하여 받습니다.권한 이슈가 있기에 받는 곳은 ..

시스템/Linux 2024.12.04

[GCP] Shared VPC에서 Service Project별로 권한 설정하기

목적 : On-premise에서 전체를 총괄하는 책임자도 있지만, 네트워크 관리자, 서버, 각 솔루션 관리자들이 있습니다.네트워크 관리자가 모든 서브넷, 라우팅을 관리하고 네트워크보안 관리자가 방화벽, WAF, IPS등을 관리합니다.네트워크 관리자와 보안관리자가 각 서버에 IP도 부여하고, 방화벽 설정도 하지요.그래서 네트워크 관리자가 알려주지 않으면, 서버 관리자는 본인이 관리하는 서버외 다른 네트워크에 대해서는 모르는게 일반적 이었습니다.알필요도 없었으니까요. 즉 권한이 분산되어 사용되는 것이 보안적인 측면에서 좋다고 생각합니다.Cloud는 Shared VPC, VPC Peering 처럼 VPC를 연결하는 기술이 있습니다.중앙집중화인 Shared VPC와 분산형 VPC Peering 이 있습니다.그 ..

Cloud/GCP 2024.12.02

[AWS] S3 (SaaS 서비스)를 DX, VPN (private)망으로 사용하기

개요사무실, IDC에서 public망이 아닌 DX, VPN망을 이용하여 S3를 사용하기 위한 방안작성 입니다.S3외에도 DynamoDB 같은 SaaS형 서비스에는 적용됩니다.일반적으로 iaas 서비스는 VPN을 구성하면 그것으로 통신을 하지만, SaaS형 서비스들은 내가 서비스를 설치, 구성하는 것이 아닌 AWS에서 제공해주기에 Public망을 통해서만 연결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안전한 데이터 흐름을 위한 방안 중 하나라고 볼 수 있습니다.전체 구성도구성 특징On-Premise에서 S3에 Upload가 가능하도록 설정하며네트워크 구간의 보안을 위해 Direct Connect, VPN HA구성하여 설계S3는 보안성을 강화하기 위해 Access Log용  S3 Bucket을 별도로 설정Private Subn..

Cloud 2024.11.28

[GCP] Mobile Device Alerting 설정

목적 : GCP 에서 Alerting 설정시 SMS, slack 여러 방안이 있지만, Mobile Device에서도 알림이 가능합니다.기존에는 Console에서 Add 후 QR코드 등으로 등록하는 방법이었는데, 2024년 5월 현재 방법이 변경되어 해당내용 공유하기 위해 작성합니다. 특이사항 : 위의 목적에 작성한 것처럼 별 다른 설정이나 기술이 필요한 건 아니지만, 아래 GCP Docs에서 명확히 설명되어있지 않아 혼란스런 부분이 있어 문서를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관련 URL : https://cloud.google.com/monitoring/support/notification-options?hl=ko#mobile-app 알림 채널 만들기 및 관리  |  Cloud Monitoring  |  Goog..

Cloud/GCP 2024.11.25

11.24 - 마음의 안식이 필요할 때

어느해도 다사다난 하지 않은 해가 없었지만, 2024년은 유독 마음이 어려웠던 해인거 같다. 난 15년차 회사원이기도 하면서, 8번째 직장을 다니고 있다.3번째 직장을 7년 정도 오래 다녔지만, 그에 따른 반동인지 그 다음직장부터는 꼭 참는 것만이 방법이 아니란걸 알았고 앞으로의 주 기술이 Cloud가 될 거 같다라는 생각과 그것을 너무 하고싶은 마음에거의 업무 때문에 이직을 계속 했었다. 이부분에 대해서는 의견이 많겠지만, 회사의 녹을 받는 입장에서 회사에서 필요한 일은 하는게 맞다그건 동의하나, 취업공고 JD에 있지도 않는 업무를만 해야된다고 받았을 때 그대로 하는 것이 맞나? 윗 사람에게 면담을 요청하고 몇 번이나 이야기를 했음에도 결과는 달라진게 없었다. 결국 이직으로 다시 찾아갔고..  현직장에..

여행과 일상 2024.11.24

[Security] 서비스 경계 브리지를 사용한 GCP 리소스간 연결방법

목적 : GCP에서는 VPC서비스 제어라는 보안이 있습니다.그 중 서비스 경계를 통해 Google Cloud 리소스와 VPC네트워크 격리가 가능합니다.이를 통해 네트워크 통신을 차단, 허용하는 것 외에 GCP 리소스를 내외부적으로 허용, 차단을 할 수 있습니다.VPC서비스 제어에 대해서는 작성할 것이 많지만, 이번 문서에서는 같은 조직간 프로젝트에 있는 리소스를 연결시 사용될 수 있는 “경계 브리지"에 대해 어떤 것인지, 사용방법에 대해 기술합니다. 참고 Docs (VPC서비스 제어 개요)https://cloud.google.com/vpc-service-controls/docs/overview?hl=ko VPC 서비스 제어 개요  |  Google Cloud의견 보내기 VPC 서비스 제어 개요 컬렉션을 ..

Cloud/GCP 2024.11.19

GCP의 Free Tier로 3-Tire 구축 테스트 내용정리

멘토링 진행 시 실습환경 구성을 위해 미리 테스트했던 내용약 21일간 해당 구성을 유지할 수 있는지 조사 확인이 필요하여 작성개요GCP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Free Tier ($300)으로 3-Tire로 구축이 가능한지 조사, 구축 한 내용을 정리구성도리소스 현황역활리소스명스펙비고HTTP LBCloud Load Balancing전역 HTTP(S) 부하 분산기(기본) TCP LBCloud Load BalancingTCP 부하 분산 WEBCompute Enginee2-small ( vCPU 2, 2GB) WASCompute Enginee2-medium( vCPU 2, 4GB) DBSQLCloud SQlvCPU 2Core, Memory 8GB, HDD : 10GB RedisCloud Memorystore표..

Cloud/GCP 2024.10.16

load average 관련

시스템 성능을 체크하다 보면 load average를 보게되는데..나도 Core수에 따른 부하 값 (1core가 1.0 값을 가지고 있으면 100%) 정도로 알고 있었다. 이걸 AI에 물어보니 ..참 아래와 같이 잘 정리해서 답변을 내주었다.공부할때도 좋고, 그러긴 한데뭐랄까 좀 기분이 그렇다. 참고하기 위해 블로그에 기록정말 글 잘 쓴다..1. load average란 무엇인가?load average는 시스템이 얼마나 바쁜지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이 값은 일정 기간 동안 시스템의 평균 부하를 보여줍니다. top 명령어를 실행하면 화면 상단에 load average: x.xx, y.yy, z.zz와 같은 형식으로 나타납니다.여기서 각각의 값은 다음을 의미합니다:x.xx: 지난 1분 동안의 평균 부하y.y..

시스템/Linux 2024.1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