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toscaling 2

Slack 기반 GCE Managed Instance Group 오토스케일링 자동화 구축 가이드 (Pub/Sub 연동, 상태 알림 포함)

목표 및 배경목표 : Slack에서 버튼 한 번 클릭만으로 GCP Regional Managed Instance Group(MIG)의 인스턴스 개수를 신속하게 조정배경 : 운영자들이 수동으로 GCP 콘솔/명령어 대신, 더 친숙한 Slack 환경에서 증설·감소를 할 수 있도록 함Pub/Sub 기반 비동기 아키텍처로 Cloud Run이 혹여 동작을 못하였다고 해도 확인 후 재시도가 가능합니다.증설/감소 시 현 상태(기존 인스턴스 수 → 변경 후 인스턴스 수)를 명확하게 Slack으로 안내받아 실시간 모니터링 효과까지 볼 수 있습니다. 1. 아키텍처 1-1. 아키텍처 설명Slack (/auto 명령 or 버튼) ↓Cloud Run 서비스(슬랙 이벤트 트리거) ↓ (Pub/Sub 메시지 발행)Pub/Sub ..

CPU 부하 줄때 간단히 사용할만한 방법

GCP autoscaling 테스트 진행하면서 .. 간단히 사용했던 명령어 그래서 GCP카테고리에 쓸려다가, 생각해보니 애는 linux명령어고.. 그래서 linux 카테고리에 작성- autoscaling이나 테스트 하다보면 CPU를 부하를 일부로 주어야할때가 있다. 부하를 주는 툴도 많긴 한데 (Apache Bench, JMeter등) 웹서버, WAS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해야된다는 점과 단순히 이번 업무처럼 CPU부하만 올리는 경우도 가끔은 있기에 작성 dd는 블록 단위로 파일 복사하거나 변환을 해주는 명령어고, /dev/zero는 Null문자를 제공하는 특수 파일이다. null도 있긴한데 차이점이라면, null은 비우는 것이고, zero는 비우면서 null로 채운다. 어차피 아래에서는 만든 것을 null로..

시스템/Linux 2023.08.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