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ud/GCP 56

GCP에서 3-Tire 구성 - Part.2

GCP에서 3-Tire를 구축해서 올린 적이 있다. https://seonggi.kr/148 GCP에서 3Tire로 구성하기 잠시 몸담았던 회사에서 입사시 내주었던 과제 Spring에서 공식적으로 제공하는 예제 프로젝트인데 전통적인 3Tire 구조이기 때문에 해보면 도움되는 것이 많다. 예제를 다운받을 수 있는 곳은 아 seonggi.kr 그 이후로..28장 PT를 만들어서 발표했는데, 우선 구성도만 정리하는 차원에서 작성해본다. 내용을 다 올릴지는 고민.. - WEB, WAS, DB 구성 WAS는 세션클러스터링으로 Redis 사용 - 집에있는 서버에 백업을 한다고 가정 VPN연결 후 DB Replication 및 rsync로 web, was의 파일 백업 - AWS를 DR로 구성 GCP - AWS간 VP..

Cloud/GCP 2024.01.16

[GCP] SSL - Load balancing 인증서 발급과 테스트 방안

목적 : https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SSL인증서가 필수입니다. 웹서버에 설치 or L4 Switch에서 설치해두고 ssl offload를 사용하거나 클라우드의 경우 Load Balancer가 해당 역활을 할 수 있습니다. 보통 고객사에서 인증서를 발급 받은 후 MSP사에 등록요청 후 운영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설계하는 입장에서는 SSL인증서를 발급 받는 일이 거의 없기는 하나 알아두면 나쁠 것이 없기에 정리합니다. 본 문서에서는 테스트용 SSL인증서를 발급받아, GCP Load balancer에 등록해 보겠습니다. 내용 : SSL인증서는 발급되는 파일 포맷이 많습니다. CRT, CER, DER, PEM, PFX, JKS등이 있습니다. 대부분 웹서버 종류에 따라 (jks는 java기반으로 tomcat에..

Cloud/GCP 2024.01.15

[GCP] On-Premise to GCP VPN구성

배경 : GCP와 On-Premise간 VPN통신을 구축해보기 위한 문서입니다. 많은 On-Premise 사이트에서는 VPN기능이 포함된 UTM들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UTM장비의 엔트리, 미들레인지급은 보통 네트워크 프로토콜인 BGP를 지원하지 않으므로 GCP의 HA VPN으로는 구성이 불가하기에, Classic VPN(기본형)을 사용하도록 하겠습니다. 고객사 장비가 엔터프라이즈급으로 BGP를 지원한다면 HA VPN을 사용하는 것을 권고합니다. 또한, UTM장비마다 설정 하는 방법과 용어는 조금씩 다르지만 필요한 설정 값 들은 동일합니다. 목적 : 데이터의 안전한 흐름을 위해 Public망이 아닌 Private망을 사용합니다. GCP와 고객사간 전용선 (Cloud Interconnect)가 가격을 생각..

Cloud/GCP 2024.01.15

StratoZone 정리

Stratozone이란 On-premise, 타 Cloud 인프라를 GCP로 마이그레이션 계획 진행하는데 있어,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 직접 마이그레이션을 진행하지는 않지만, 데이터를 수집 (strato probe)하고, 비용계산하고, 마이그레이션을 일정을 도와주는 도구 Stratozone 진행순서 ANALYZE PLAN BUY MIGRATE (직접 수행 되지는 않음) MANAGE INTEGRATE SECURE 특징 애셋을 검색할 때는 에이전트 없는 프로세스가 사용 배포할 어플라이언스, 하드웨어 또는 에이전트가 없는 상황 검색은 하이퍼바이저 및 물리적 애셋 또는 가상 애셋에 관계없이 적용됨 StratoProbe (데이터 수집기) 해당 네트워크에 서버를 두고, 해당 서버가 내부에서 스캔을 하여 정보를 수집..

Cloud/GCP 2023.08.23

GCP에서 Windows RDP Port 변경

목적 : Windows Server 계열은 RDP를 사용하여 원격접속을 합니다. 해당 서비스는 기본으로 3389를 사용하며, 잘 알려진 well-known port이기 때문에 포트 변경을 통해 무작위 대입 공격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이 문서에서는 Windows에서 사용할 수 있는 Powershell 명령어를 통해 GCP의 메타데이터를 적용하여, 템플릿이나 프로젝트 전체에 적용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Windows 운영 중인 상태에서 변경하기 (레지스트리 변경)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시작합니다. (검색 상자에 regedit을 입력합니다.) 다음 레지스트리 하위 키로 이동합니다.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Control\Terminal Server\WinS..

Cloud/GCP 2023.08.18

[GCP/Monitoring] Monitoring Agent 설치시 에러메시지가 발생될때

GCP에서 GCE의 리소스 Monitoring을 하기 위해 운영 에이전트를 설치가 되지 않을때 내용을 정리 운영에이전트는 gcloud에서 설치할 수도 있고, GCE에서 진행할 수도 있다. 다만, gcloud에서 설치진행이 완료 되었다고 하지만, 실제로 Agent에서 “service google-cloud-ops-agent status” 명령으로 확인시 설치가 안된경우가 있다. 수동 설치방안 curl -sSO https://dl.google.com/cloudagents/add-google-cloud-ops-agent-repo.sh sudo bash add-google-cloud-ops-agent-repo.sh --also-install docs : https://cloud.google.com/monitor..

Cloud/GCP 2023.06.24

HA VPN (GCP to AWS)

💡 문서의 목적 Site To Site VPN은 Public망이 아닌 Private 한 통신을 하기 위해 만들어진 방식 GCP, AWS간 VPN 구성 후 통신까지가 본 문서의 목적이며 인터넷에 있는 대부분의 문서들이 2021년전 문서입니다. 2023년 현재 AWS, GCP메뉴가 많이 달라져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 주의사항 AWS VPN은 기본적으로 HA로 구성되게 되어있다. 이말의 뜻은 VPN 생성시 기본적으로 Tunnel을 2개 생성되며 삭제는 불가능하다. GCP에서 HA VPN이라 하면 NIC Interface 2개를 사용하여 터널을 맺는 것인데, 이를 AWS적용하자면 GCP Interface 2개, AWS VPN연결을 2개 생성하여 총 4개의 Tunnel을 맺어야 HA VPN으로 구성됩니다. 아래..

Cloud/GCP 2023.06.07

GCP 보안

GCP Infra관련 보안을 정리 기본보안 MFA (Multi-Factor Authentication) : 다중인증 GCP Console접속시 1차 로그인 이후 OPT, 문자, 디바이스메시지, 백업코드등을 이용하여 로그인 아래 Google문서에서도 권장사항은 MFA를 필수로 사용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사용자들이 MFA를 강제로 사용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https://admin.google.com) 참고 : MFA적용 [bookmark](https://cloud.google.com/identity/solutions/enforce-mfa?hl=ko) 참고 : MFA 강제사용방법 [bookmark](https://cloud.google.com/blog/ko/products/identity-secur..

Cloud/GCP 2023.05.30

Cloud storage

Cloud StorageCloud Storage을 이용한 웹서비스스토리지 클래스 Cloud Storage 가격책정이중 리전 / 멀티 리전 Cloud StorageAWS의 S3처럼 객체를 저장하는 객체스토리지 객체란? 모든 형식의 파일로 구성된 변경할 수 없는 데이터 조각 (pdf, jpg, png등의 모든 파일) GCP에서 설명하는 Cloud StorageCloud Storage란 무엇인가요? | Google Cloud이 페이지에서는 Cloud Storage와 작동 방식을 간략하게 설명합니다. Cloud Storage는 Google Cloud에 를 저장하는 서비스입니다. 객체는 모든 형식의 파일로 구성된 변경할 수 없는 데이터 조각입니다. 객체를 이라는 컨테이너에 저장합니다. 모든 버킷은 와 연결되며 프..

Cloud/GCP 2023.05.12